[서울=뉴스핌] 전미옥 기자 = 국민 반찬인 '김' 가격이 수개월째 고공행진하고 있다. 기후변화로 세계 김 생산지가 줄어들고 있는 가운데 K푸드 열풍으로 수출이 늘어난 영향이다. 공급은 한정된 상황에서 수요가 급증하면서 '김값이 금값'된 상황이 벌어진 것이다.

통계청의 '6월 소비자물가동향'에 따르면 김 가격은 지난해 같은 달 대비 28.6% 올랐다. 이는 1987년 12월(34.6%)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. 농·축·수산물 평균 상승률은 6.5% 수준이다.

김 도매가격은 상승세는 더 가파르다. 해양수산부 등에 따르면 마른김 도매가격은 100장당 평균 1만700원으로 지난해보다 55.4% 올랐다. 마른김 10장의 소비자가도 1326원으로 지난해보다 30% 상승했다. 8000원 수준이던 김밥용 김 한 봉지는 반년 만에 1만1000원대로 30∼40%나 올랐다.

산업부 전미옥 기자

김 가격의 상승은 수출 증가에서 기인한다. K푸드 열풍에 힘입어 조미김 뿐 아니라 김 스낵, 그리고 냉동김밥까지 김 관련 제품 수출은 나날이 증가하는 추세다. 관련해 지난해 우리나라 김 수출액은 처음으로 1조원을 돌파했고 올해에도 이같은 흐름이 지속되고 있다.

문제는 김 생산물량이 한정돼있고 기후영향으로 생산지도 줄고 있다는 점이다. 김 양식에 적합한 해수 온도는 섭씨 10~20도로 주로 겨울철에 생산된다. 그런데 최근 한반도 주변 해수면 온도가 계속 높아지는 기후온난화로 인해 김 생산기간과 지역이 줄어드는 상황이다.

이미 일본에서는 온난화 여파로 김 생산량이 최근 10년 사이 40% 가까이 감소했다. 전 세계에서 김은 한국, 중국, 일본에서만 생산된다. 한국산 김 수요가 급증한 배경에는 K푸드 열풍 뿐 아니라 일본의 생산량 감소도 영향을 미친 셈이다. 현재 전 세계 김 시장에서 한국의 점유율은 70%에 달한다. 김 수출이 늘수록 공급이 달려 가격이 오르는 구조다. 김 수출 성과에만 매진할 경우 자칫 한국인의 밥상에서 김이 자취를 감출 수 있다.

지난해부터 강한 물가안정책을 펴고 있는 정부의 대응에도 아쉽다는 지적이 나온다. 정부의 노력이 기업들을 소환해 물가 안정 압박을 가하는데 치중, 정작 물가안정 차원에서 김 수출물량 제한하거나 김 생산지를 확대하고 생산인력을 지원하는 등 정책적 입김이 필요한 부문에서는 소홀했다는 것이다.

관련 업계에서는 지구온난화 등 기후변화를 피할 수 없는 상황에서 육상양식, 김 생산지 확대, 김 종자 연구 등 지원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. 김 산업을 위한 인력 확충도 과제로 떠오른다. 대표 한국의 맛인 김이 '검은 반도체'와 '국민 반찬' 타이틀 모두를 유지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. 

romeok@newspim.com